본문 바로가기

비트코인11

[하모닉 패턴 - 2] Gartley 패턴과 Bat 패턴에 대해 알아보자 오늘은 비트코인 트레이딩에서 많이 사용하는 하모닉 패턴 중 가틀리(Gartley) 패턴과 뱃(Bat) 패턴에 대해 소개하려 합니다. 피보나치 비율 활용에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은 막연하고 어렵게 느껴지실 수도 있겠지만, 누구나 사용할 수 있게 최대한 쉽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Bullish는 패턴 완성 후 상승, Bearish는 패턴 완성 후 하락을 의미합니다. ★ [가틀리(Gartley) 패턴] ➣ B는 XA길이의 0.618 되돌림 ➣ C는 AB의 길이의 0.382~0.886 되돌림 ➣ D는 XA길이의 0.786 되돌림 ➣ CD는 BC길이의 1.13~1.618 확장 [뱃(Bat) 패턴] ➣ B는 XA길이의 0.5 되돌림 (원래 0.382~0.5지만 0.382는 예외적인 경우가 있어 제외했습니다. 다.. 2022. 9. 3.
투자 수익이 적어도 부자가 될 수 밖에 없는 이유 [복리의 마법] 개인적으로 투자의 성패를 좌우하는 것은 마인드라고 생각합니다. 어느 정도 공부를 해서 지지, 저항, 추세, 파동, 보조지표 등 여러 가지 지식을 얻었는데 누군가는 크게 성공하고, 또 누군가는 손실만 보는 결정적인 이유가 바로 투자에 임하는 마인드가 달라서라고 저는 확신합니다. 저 또한 지금도 완성된 투자자라고 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지만, 과거에 열심히 공부를 하고도 번번이 깡통을 찼던 경험을 통해 깨달은 것을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1. 여유자금으로 투자해야 하는 이유 (심리적 여유) 비슷한 정도의 투자 지식을 가진 A와 B가 둘 다 100만 원을 가지고 투자를 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A에게 100만 원은 당장 생활하는데 불편함이 느껴질 정도의 금액이고, B에게 100만 원은 없어도 크게 영향이 없는 금.. 2022. 8. 19.
 비트코인 과거차트 분봉으로 보는 간단한 방법 보통 비트코인 차트는 트레이딩 뷰를 통해 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트레이딩 뷰는 단기간의 분봉 차트 밖에 제공을 하지 않기에 더 먼 과거의 분봉 차트를 보는 방법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bitstamp 거래소를 통해 분봉 과거차트를 보는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비트스탬프(https://www.bitstamp.net) 로 접속합니다. 2. 상단에 Tradeview에 들어갑니다. 3. 우측 상단의 네모는 전체 화면, 왼쪽 하단의 네모를 통해 원하는 날짜와 시간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비트스탬프를 통해 무료로 원하는 분봉으로 원하는 부분의 차트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아쉽게도 타임프레임을 바꾸면 다시 현재로 돌아오게 되는 점이 있습니다만 트레이딩 뷰.. 2022. 8. 14.
macd 보는 방법만 알아도 수익률이 달라진다 macd 주식이나 비트코인 투자를 하신다면 가장 많이 들어본 보조지표 중 하나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macd는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의 약자로 번역하면 이동평균선의 확산과 수렴을 나타내는 보조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간단히 설명하면 macd는 이동평균 간의 차이를 통해 추세를 파악하는 보조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macd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투자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acd의 구성] 일단 트레이딩 뷰에서 macd를 불러오면 차트 하단에 아래와 같이 macd를 볼 수 있습니다. macd는 macd 선(파란색)과 signal 선(주황색) 그리고 가운데에 위치한 히스토그램(초록, 빨강)으로 구성되어있.. 2022. 8.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