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이 쓰는 DAW(시퀀서) 가격, 특징, 장단점 등 비교 추천 [로직 프로 X, FL 스튜디오, 에이블톤 라이브, 큐베이스, 스튜디오원]
아무래도 작곡이나 프로듀싱을 시작하시는 분들의 가장 첫 고민은 '어떤 DAW를 사용해야 할까'인 것 같습니다. 가격도 천차만별이고, 어떤 사람들은 장르별로 특화된 DAW가 있다고도 하는데, 적지 않은 금액이라 무작정 아무거나 사볼 수도 없고, 이제 막 시작하시는 분들에게는 고민이 많이 되는 문제인 것 같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첫 DAW를 선택하는 팁과 선택에 도움이 될 DAW들의 특징들을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첫 DAW를 선택하는 팁?
▸ 프로듀싱, 작곡 선생님이 사용하는 DAW
▸ 좋아하는 아티스트가 사용하는 DAW
▸ 디자인이 마음에 드는 DAW
▸ 요즘 제일 많이 사용하는 DAW
개인적으로는 첫 DAW를 선택하는 기준은 저 정도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가장 좋은 DAW는 익숙한 DAW라는 말이 있듯이, 어떤 DAW를 사용하던 일단 시작하고 익숙해지면 그게 자신에게 제일 좋은 DAW입니다. 하지만 더 신중하게 고르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 대표적인 DAW들의 특징들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 로직 프로 X


➣ Mac OS에서만 사용 가능
➣ 가격 : 249,000원
➣ 내장 악기와
Apple Loops(내장 샘플)의 퀄리티가 좋다는 평이 많다.
➣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과 한 번 구매하면 업데이트는 무료로 가능하기에 비용 부담이 적다. ()
➣ 유저가 많아 문제가 생겼을 때 해결방법을 찾거나 강의를 찾기 쉽다.
➣ 10.5 버전부터 Live Loops가 업데이트되어, 에이블톤 라이브의 특징이었던 샘플 재생 방식의 작업이 가능해지고, 에이블톤 라이브에서 많이 사용하던 런치패드의 사용이 가능해졌다.
▶︎ FL 스튜디오


➣ Windows, Mac OS 사용 가능
➣ 가격 : FL Studio All Plugins Edition $499.00 (약 55만 원)
➣평생 무료 업데이트 (FL Studio 20.1 → 20.2 이 정도 업데이트가 아니라, FL Stuido 20에서 FL Stuido 21로, FL Stuido 21에서 FL Stuido 22로 계속 업데이트 가능합니다.)
➣ Automation, 피아노 롤, 스텝 시퀀서가 다른 DAW에 비해 자유롭고 편리함.
➣ 특이하게도 단축키 수정이 안됨
➣ DAW 중 가장 가벼운 편이다.(저사양 컴퓨터라면 추천)
➣ 유튜브에 영어로 된 강의가 매우 많은 편.
➣ 초심자들에게 쉽고 직관적이지만, 오히려 다른 DAW에 익숙해져 있다면 적응하기 어려운 DAW
▶︎ 에이블톤 라이브


➣ Windows, Mac OS 사용 가능
➣ 가격 : Ableton Live Suite $749 (약 85만 원)
➣ 전용 컨트롤러인 Ableton Push가 있어 키보드와 마우스가 없이도 편하게 작업이 가능하다. (하지만 가격이 사악하다. 약 90만 원, Ableton Live와 함께 구매 시 패키지로 약 130만 원 정도)
➣ 하단에 위치한 플러그인 창에서 다수의 플러그인을 열지 않고 컨트롤 가능하다.
➣ 기존 DAW와 같이 작업할 수 있는 어레인지 뷰와, 라이브와 즉흥적인 작업에 특화된 세션 뷰를 번갈아가며 작업 가능(로직 프로 X도 최근 업데이트로 비슷한 스타일의 작업 가능)
➣ Max For Live를 통해 직접 플러그인 제작 가능(은 하지만 어렵습니다.)
▶︎ 큐베이스


➣ Windows, Mac OS 사용 가능
➣ 가격 : Cubase Artist €581.99 (약 80만 원)
➣ 한국에 유저가 많다. (한국어로 들을 수 있는 강의
가 엄청 많다.)
➣ e-licenser라는 usb를 사용하여 라이선스 인증해야 한다.(불편함)
➣ 코드를 짜주는 코드 트랙이라는 기능이 있어 코드 진행을 쉽게 할 수 있다.
➣ 업데이트 비용이 따로 있다.
➣ 다른 DAW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관적이지 않다.
▶︎ 스튜디오원


➣ Windows, Mac OS 사용 가능
➣ 가격 : 472,843원 (사진은 세일 중)
➣ 다른 DAW들의 장점을 모아서 만든 DAW라는 평
이 있다.
➣ 후발 주자라서 상대적으로 정보가 부족하다. (특히 한국어 정보)
➣ 기존의 DAW를 사용하던 유저들을 생각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 빠른 유저 피드백
댓글